주제별 검색
7
T
[차트] 분임토의결과보고 새마을지도자반 제55기 제5분임반 1977.5.17
1열에는 사진 설명을 | 2열에는 사진을 넣으세요. |
---|---|
키보드를 사용하여 뷰어를 제어하실 수 있습니다. 좌우버튼 :이동 | + - : 확대/축소
형태분류
문서류 > 일반문서
주제분류
교육 > 교육과정 > 분임토의
시대분류
1970년대 > 1977년
출처분류
새마을운동 기관 > 연수원 > 중앙연수원
해제문
[정의]
1977년 5월 17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진행된 새마을지도자과정 제55기 제1분임연구반 분임토의 보고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자립마을 지도자의 자세와 소득증대 방안에 대한 분임토의 결과물이다. 이 분임은 그동안 환경개선에 집중된 새마을운동을 다시 한 번 부흥시키기 위해 소득증대사업에 매진하자는 취지에서 토의를 진행했다. 중점 토의방향은 새마을 정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 자립마을 지도자로서의 자세 소득증대 방안 등 3가지였다. 토의 내용은 새마을운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인내력과 설득력 부족 가정생활 소홀 문제를 다루고 소득증대 방안으로 넘어갔다. 소득증대는 생산량 증대 농외소득 증대방안 소비절약과 저축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착안점과 대책을 도표로 정리했다. 착안점은 영농자세 새로운 농사기술 환금작물 생산 토양보존 유휴지 활용 시장정보 획득 상품성 향상 새마을운동에 관심이 적었다 도시 새마을운동의 추진방법을 몰랐다 솔선수범 부족 주민들과의 협의 부족 소비생활의 합리화 미비 불규칙한 생활 국가 존엄성 자각 부족 등이 열거되었다. 해결방안은 과학영농 새로운 영농기술 학습 선진 마을 견학 영농계획 작성 농협을 통한 계통출하 근로정신 함양 농업기계화 추진 농가부업 개발 등이었다. 이어 영농계획서 양식과 영농일지 양식을 첨부하고 있다. 마지막 결론에서 연수원에서 배운 바대로 실천할 것과 함께 분임 동기들과 지속적으로 연락할 것을 결의하고 있다.
[용어정리]계통출하: 농어민이 협동조합 계통조직을 통해 생산한 농수산물을 출하·판매하는 것 환금작물: 주로 판매하기 위하여 재배되는 작물
[의의]
이 자료는 농촌 새마을지도자의 소득증대사업에 대한 관심을 잘 보여준다. 자립마을은 새마을운동에서 최고 단계의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소득증대사업에 있어서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나타난다. 또한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시장경제를 염두에 둔 농업생산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특징적이다.
1977년 5월 17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진행된 새마을지도자과정 제55기 제1분임연구반 분임토의 보고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자립마을 지도자의 자세와 소득증대 방안에 대한 분임토의 결과물이다. 이 분임은 그동안 환경개선에 집중된 새마을운동을 다시 한 번 부흥시키기 위해 소득증대사업에 매진하자는 취지에서 토의를 진행했다. 중점 토의방향은 새마을 정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 자립마을 지도자로서의 자세 소득증대 방안 등 3가지였다. 토의 내용은 새마을운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인내력과 설득력 부족 가정생활 소홀 문제를 다루고 소득증대 방안으로 넘어갔다. 소득증대는 생산량 증대 농외소득 증대방안 소비절약과 저축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착안점과 대책을 도표로 정리했다. 착안점은 영농자세 새로운 농사기술 환금작물 생산 토양보존 유휴지 활용 시장정보 획득 상품성 향상 새마을운동에 관심이 적었다 도시 새마을운동의 추진방법을 몰랐다 솔선수범 부족 주민들과의 협의 부족 소비생활의 합리화 미비 불규칙한 생활 국가 존엄성 자각 부족 등이 열거되었다. 해결방안은 과학영농 새로운 영농기술 학습 선진 마을 견학 영농계획 작성 농협을 통한 계통출하 근로정신 함양 농업기계화 추진 농가부업 개발 등이었다. 이어 영농계획서 양식과 영농일지 양식을 첨부하고 있다. 마지막 결론에서 연수원에서 배운 바대로 실천할 것과 함께 분임 동기들과 지속적으로 연락할 것을 결의하고 있다.
[용어정리]계통출하: 농어민이 협동조합 계통조직을 통해 생산한 농수산물을 출하·판매하는 것 환금작물: 주로 판매하기 위하여 재배되는 작물
[의의]
이 자료는 농촌 새마을지도자의 소득증대사업에 대한 관심을 잘 보여준다. 자립마을은 새마을운동에서 최고 단계의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소득증대사업에 있어서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나타난다. 또한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시장경제를 염두에 둔 농업생산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특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