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까지 새마을운동은 농촌 운동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이후 1974년부터 소득증대, 새마을교육과 더불어 도시새마을운동이 3대 중점과제로 선정되면서,
새마을운동은 도시와 직장, 공장, 학교 등 여러 분야로 확산되었다.
새마을운동의 확산
정신질서, 행동질서, 환경질서를 추진한
도시새마을운동
1974년부터 매월 1일을 새마을의 날로 정하고
정신질서, 행동질서, 환경질서 등 3대 질서운동을 추진했다. 전국적으로 일제히 개최된 반상회를 중심으로 이웃돕기, 환경정비, 저축, 폐품 수집, 식생활개선, 가족계획,소비자 보호, 봉사활동 등을 전개했다.
정신질서, 행동질서, 환경질서 등 3대 질서운동을 추진했다. 전국적으로 일제히 개최된 반상회를 중심으로 이웃돕기, 환경정비, 저축, 폐품 수집, 식생활개선, 가족계획,소비자 보호, 봉사활동 등을 전개했다.
지역 발전을 위한 참여 운동을 전개한
직장새마을운동
1976년 새마을운동 민간단체 중앙협의회 창립을 계기로 공공기관, 기업체, 직능단체별로 추진 기구를 구성하여 환경정화, 에너지절약, 친절 및 서비스 향상, 명랑한 근무분위기 조성, 농촌 일손 돕기, 불우이웃 돕기, 거리질서 확립,줄서고 차례 지키기 등 지역 발전을 위한 참여 운동을 전개했다.
새마을정신을 체득하도록한
학교새마을운동
학교가 지역사회의 중심이 되어 상설 새마을학교를 운영했다.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새마을정신을 체득하도록 운동을 전개했다. 대학에서는 자연과학 교수들이 새마을기술봉사단을 구성하여 소득증대기술을 현장 지도했으며, 대학마다 새마을연구소를 설립하여 새마을운동에 대한 이론을 개발했다.
근로자와 경영자의 새마을정신을 촉진한
공장새마을운동
1977년부터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장새마을운동이 추진되면서,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정신이 제조업 분야로 확산되었다. 근로자들의 에너지 절약, 원가절감 노력을 촉진하는 한편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 직원 후생복지 등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