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의의
경제발전 측면
새마을운동의 경제적 성과는 국가경제 전체와 개별 경제주체에 대한 성과 측면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경제성장, 소득증대와 도농간 격차해소, 지역간 균형발전, 자본형성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
경제성장1972~1976년과 1977~1985년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각각 10.2% 와 6.5% 로 새마을운동 추진 시기에 매우 높았다.
농촌의 소득과 저축증대는 농촌지역의 자본형성과 고용효과를 가져왔고, 생활수준 향상으로 공산품에 대한 유효수요증대로 이어져 산업발전에 이바지 하였다. -
도·농간 소득격차 완화1970년대 중반 농가의 경상소득과 실질소득이 도시근로자에 가까이 접근하여 도·농간 소득격차가 완화되었다. 도시가구 1인당 실질소득에 대한 농가 1인당 실질소득은 1970년 61.7% 에서 1974~1975년에는 85% 수준까지 도달했다. 1974~1977년에는 경상소득 측면에서 농가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계 소득을 상회하기도 했다.
-
지역간 균형발전새마을운동은 마을의 발전수준에 따라 기초·자조·자립마을로 분류하여 마을별 실정에 맞는 지원을 시행했다. 전국 33, 267개 마을 중 1972년에 자립마을은 7% 에 불과하였지만, 1977년 말에는 2/3가 자립마을 수준으로 발전했다.
-
자본형성농로, 도로, 수리시설과 같은 물적 자본 이외에 새마을사업을 통해 증가된 농가소득이 저축으로 이어져 농촌의 중요한 유동자본으로 작동했다. 전기·전화 보급으로 인한 생활의 변화는 농가 활동의 생산성을 높여 주었다.
사회개발 측면
새마을운동은 사회개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인구변화, 생산기반시설의 확충, 주택 및 생활개선, 교통·통신환경 개선, 복지와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살펴볼 수 있다.
-
인구변화새마을운동 당시 인구 1, 000명당 출생아의 숫자를 비율로 나타낸 조출산율이 1971년 23.7명에서 1976년 19.8명으로 16.5% 감소했고, 농촌인구 조사망률은 1971년 9.0명에서 1976년 8.1명으로 10% 정도 감소했다. 그리고 복지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 수명도 증가했다.
-
생산기반시설의 확충새마을사업에 의해 1971~76년 사이 경지정리율은 14.6% 에서 25.3% 로 약 2배 증가했고, 소류지, 보, 도수로, 배수로 등의 수리시설을 완비하여 생산기반시설을 확충 했다. 그리고 영농의 기계화로 농업생산량을 크게 향상 시켰다.
-
주택 및 생활개선새마을사업에서 역점을 두고 추진한 화장실개량, 지붕개량, 담장개량, 마을안길 확장, 하수구 개선, 소하천 정비 등의 환경개선사업으로 생활환경이 비약적으로 개선되었다. 농촌의 초가지붕은 1971년 이후 5년 동안에 30% 가 기와나 슬레이트 등으로 개량되었으며, 전기보급은 1981년에 완결되었다.
-
교통·통신환경 개선마을 안길 및 진입로 개설로 차량(마을버스 등)을 활용한 외부활동이 가능해지고 시장접근성이 개선되었다. 통신환경에 있어서는 라디오와 TV보급이 확대되어 농촌주민들의 정보 획득과 문화생활이 크게 향상되었다.
-
복지와 생활수준 향상새마을운동을 통한 소득증대와 더불어 생활용품의 구입이 증가했다. 마을회관, 탁아소 등 마을단위 공동이용 복지시설이 현저하게 증가했고, 병원과 약국이 있는 마을의 비율이 1971~76년 사이 8.5% 에서 18.4% 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정신계발 측면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정신으로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생활태도가 형성되었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 고취 등 국민의 의식구조 변화에 기여했다.
-
새마을정신 실천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정신 실천으로 마을주민들의 태도가 진취적, 적극적, 과학적으로 변화하였고, 농민을 비롯한 사회 각계각층에 대한 새마을교육으로 국민의 민주의식과 합리성도 크게 향상 되었다.
-
생활양식의 변화축산진흥사업과 새마을부녀회의 영양개선사업 등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단백질 섭취량 증가와 같은 식생활이 개선되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직접적인 실천이 이루어졌다.
-
인간관계 변화공동체내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동체 구성원 간에 다양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졌으며, 새마을사업을 위해 모인 마을회의는 주민들의 민주적 소통의 장이 되었다.
-
거래관계 변화개인적으로 행해지던 생산품 판매에서 공동구판으로 전환되는 등 유통구조나 거래관계도 보다 효율적으로 변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