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검색
7
T
[차트] 분임토의결과보고 새마을지도자 제52기 제9분임반
1열에는 사진 설명을 | 2열에는 사진을 넣으세요. |
---|---|
키보드를 사용하여 뷰어를 제어하실 수 있습니다. 좌우버튼 :이동 | + - : 확대/축소
형태분류
문서류 > 일반문서
주제분류
교육 > 교육과정 > 분임토의
시대분류
1970년대 > 1977년
출처분류
새마을운동 기관 > 연수원 > 중앙연수원
해제문
[정의]
1977년 3월 23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진행된 새마을지도자과정 제52기 제9분임연구반 분임토의 보고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새마을운동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소득증대 추진 방안에 대해 토의한 결과물이다. 이 분임의 토의는 그동안의 새마을운동의 성과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잘 사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 소득증대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진행되었다. 중점 토의방향은 지도자의 능력 부족 주민들의 인식부족 생산증대 활동부족 판매촉진 활동부족 소비지출 과다 등 4가지였다. 문제점으로 통솔력 추진력 실천력 등 자질 부족 협동심 부족 및 씨족대립 등 주민들의 문제 경지면적 협소와 영농자금 부족 등 생산과정의 문제 공동판매와 계통출하가 안 되는 유통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해결방안으로는 솔선수범 영농기술 습득 등의 지도자 자질함양 교육 견학을 통한 주민들에 대한 교육 야산개간 비닐하우스 설치 등의 농업생산 증대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 결론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연구검토하고 새로운 각오로 실천에 옮겨 풍요한 마을을 만들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연수원의 분임활동이 소득증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소득증대를 위해 지도자 문제와 함께 생산과 판매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이 농업생산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려주는 자료이다.
1977년 3월 23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진행된 새마을지도자과정 제52기 제9분임연구반 분임토의 보고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새마을운동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서의 소득증대 추진 방안에 대해 토의한 결과물이다. 이 분임의 토의는 그동안의 새마을운동의 성과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잘 사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 소득증대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진행되었다. 중점 토의방향은 지도자의 능력 부족 주민들의 인식부족 생산증대 활동부족 판매촉진 활동부족 소비지출 과다 등 4가지였다. 문제점으로 통솔력 추진력 실천력 등 자질 부족 협동심 부족 및 씨족대립 등 주민들의 문제 경지면적 협소와 영농자금 부족 등 생산과정의 문제 공동판매와 계통출하가 안 되는 유통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해결방안으로는 솔선수범 영농기술 습득 등의 지도자 자질함양 교육 견학을 통한 주민들에 대한 교육 야산개간 비닐하우스 설치 등의 농업생산 증대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 결론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연구검토하고 새로운 각오로 실천에 옮겨 풍요한 마을을 만들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연수원의 분임활동이 소득증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소득증대를 위해 지도자 문제와 함께 생산과 판매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이 농업생산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려주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