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검색
7
T
[차트] 분임토의연구결과보고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5기 제7분임반
1열에는 사진 설명을 | 2열에는 사진을 넣으세요. |
---|---|
키보드를 사용하여 뷰어를 제어하실 수 있습니다. 좌우버튼 :이동 | + - : 확대/축소
형태분류
문서류 > 일반문서
주제분류
교육 > 교육과정 > 분임토의
시대분류
1970년대 > 1975년
출처분류
새마을운동 기관 > 연수원 > 중앙연수원
해제문
[정의]
1975년 3월 11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5기 교육생 제7분임연구반 박기택 외 17명이 수행한 토의의 내용을 요약한 보고용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이 새마을운동의 추진 단계가 새마을가꾸기사업을 완료하고 “농가소득 140만원”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상황이므로 “초기 소득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많은 문제점이 야기”된다고 진단하고 이들을 해결하기 위한 토의를 진행한 결과물이다. 제시된 해결책들은 매우 다양한데 주로 지도자의 역량 주민들의 인습과 타성 행정기관 및 제도에서 나타난 저해 요인 유통구조의 결함 등의 문제들과 결부된 것들이다. 이 자료의 말미에는 제8분임연구반의 차트 1-2쪽이 함께 묶여 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중반기 소득증대사업을 추진하던 농촌새마을운동의 여러 문제들과 그 해결을 위한 마을지도자들의 노력을 보여준다.
1975년 3월 11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5기 교육생 제7분임연구반 박기택 외 17명이 수행한 토의의 내용을 요약한 보고용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이 새마을운동의 추진 단계가 새마을가꾸기사업을 완료하고 “농가소득 140만원”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상황이므로 “초기 소득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많은 문제점이 야기”된다고 진단하고 이들을 해결하기 위한 토의를 진행한 결과물이다. 제시된 해결책들은 매우 다양한데 주로 지도자의 역량 주민들의 인습과 타성 행정기관 및 제도에서 나타난 저해 요인 유통구조의 결함 등의 문제들과 결부된 것들이다. 이 자료의 말미에는 제8분임연구반의 차트 1-2쪽이 함께 묶여 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중반기 소득증대사업을 추진하던 농촌새마을운동의 여러 문제들과 그 해결을 위한 마을지도자들의 노력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