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1973년 밤 양묘사업 서류 매매계약서 삼군새마을
해제일
20181025
해제작성자
황병주
내용
밤 양묘사업 서류
해제문
[정의]
1973년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진산리 삼군마을의 밤나무 키우기 사업을 위한 임야 매매 계약서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삼군마을의 밤나무 양묘사업을 위해 필요한 임야를 매매한 계약서이다. 밤나무 양묘사업을 주도하고 있던 이정균이 정주읍 수성리에 거주하던 안광식으로부터 임야 748평을 매수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농촌 마을의 새마을사업 추진과정을 보여준다. 밤나무 키우기 사업을 위해 임야가 필요했고 이를 매입하는 계약상황을 보여준다. 새마을사업은 경우에 따라 상당한 준비와 자금이 투입되어야 했다. 특히 소득증대사업은 어느 정도의 초기 투자가 필요했고 밤나무 양묘사업 역시 무엇보다 토지가 중요했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3년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진산리 삼군마을의 밤나무 키우기 사업을 위한 임야 매매 계약서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삼군마을의 밤나무 양묘사업을 위해 필요한 임야를 매매한 계약서이다. 밤나무 양묘사업을 주도하고 있던 이정균이 정주읍 수성리에 거주하던 안광식으로부터 임야 748평을 매수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농촌 마을의 새마을사업 추진과정을 보여준다. 밤나무 키우기 사업을 위해 임야가 필요했고 이를 매입하는 계약상황을 보여준다. 새마을사업은 경우에 따라 상당한 준비와 자금이 투입되어야 했다. 특히 소득증대사업은 어느 정도의 초기 투자가 필요했고 밤나무 양묘사업 역시 무엇보다 토지가 중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