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1973년 밤 양묘사업 서류 연대보증서 삼군새마을
해제일
20181025
해제작성자
황병주
내용
밤 양묘사업 서류
해제문
[정의]
1973년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진산리 삼군마을의 밤나무 키우기 사업을 위한 연대 보증서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삼군마을의 밤나무 양묘사업을 위한 자금대부 신청서에 첨부되는 연대 보증서이다. 연대 보증인은 모두 3명이었고 삼군마을 거주자였다. 사업 대표자와 연대 보증인이 모두 한 마을 주민으로서 대출금 상환에 공동 책임을 질 것임을 서약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농촌 마을의 새마을사업을 위한 자금 확보 방안을 보여준다. 금융기관과의 관계가 별로 없었던 1970년대 초반 농민들이 큰 자금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정부 대출금이었다. 새마을운동은 개인이 아니라 마을 단위의 집단운동을 기본으로 했기에 사업 수행은 물론 연대 보증까지 마을 단위로 진행되었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3년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진산리 삼군마을의 밤나무 키우기 사업을 위한 연대 보증서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삼군마을의 밤나무 양묘사업을 위한 자금대부 신청서에 첨부되는 연대 보증서이다. 연대 보증인은 모두 3명이었고 삼군마을 거주자였다. 사업 대표자와 연대 보증인이 모두 한 마을 주민으로서 대출금 상환에 공동 책임을 질 것임을 서약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농촌 마을의 새마을사업을 위한 자금 확보 방안을 보여준다. 금융기관과의 관계가 별로 없었던 1970년대 초반 농민들이 큰 자금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정부 대출금이었다. 새마을운동은 개인이 아니라 마을 단위의 집단운동을 기본으로 했기에 사업 수행은 물론 연대 보증까지 마을 단위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