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1973년 마을기금 조성상황 삼화2리
해제일
20181018
해제작성자
황병주
내용
마을기금 조성상황
해제문
[정의]
1973년 충청남도 당진군 삼화2리에서 생산된 마을기금 조성상황 도표
[주요내용]
이 문서는 삼화2리의 마을기금 조성상황을 도표로 정리한 것이다. 도표는 날짜와 성명 금액으로 구분된 형식이다. 가구당 출자금은 5 000원 10 000원 15 000원 등 세 종류밖에 없다. 가구별 누계 금액도 적혀 있다. 누계 금액이 제일 많은 경우는 185 000원이고 가장 적은 가구는 10 000원이다. 총액은 91가구가 855 000원을 적립했다
[용어정의]
[의의]
이 자료는 마을기금 적립현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새마을사업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일정한 자금 투입이 불가피했다. 당시 상황에서 정부의 충분한 재정지원이 곤란했기에 마을과 주민들의 노력이 없다면 사업 추진은 매우 곤란했다. 삼화2리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73년에 이미 상당한 금액의 마을기금을 조성했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3년 충청남도 당진군 삼화2리에서 생산된 마을기금 조성상황 도표
[주요내용]
이 문서는 삼화2리의 마을기금 조성상황을 도표로 정리한 것이다. 도표는 날짜와 성명 금액으로 구분된 형식이다. 가구당 출자금은 5 000원 10 000원 15 000원 등 세 종류밖에 없다. 가구별 누계 금액도 적혀 있다. 누계 금액이 제일 많은 경우는 185 000원이고 가장 적은 가구는 10 000원이다. 총액은 91가구가 855 000원을 적립했다
[용어정의]
[의의]
이 자료는 마을기금 적립현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새마을사업은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일정한 자금 투입이 불가피했다. 당시 상황에서 정부의 충분한 재정지원이 곤란했기에 마을과 주민들의 노력이 없다면 사업 추진은 매우 곤란했다. 삼화2리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73년에 이미 상당한 금액의 마을기금을 조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