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1973년 입직기 특별지원금 관리 기록부(일시예탁금원장) 공근리
해제일
20181024
해제작성자
김보현
내용
입직기 '73 특별지원금 관리 기록부
해제문
[정의]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공근리에서 대통령 특별지원금을 받아 금융기관에 예탁하여 관리한 내역의 장부 문서철
[주요내용]
이 자료는 겉표지를 제외하면 금융기관 예탁 장부 1장이 전부이다. 겉표지에 쓰인 “입직기”와 “특별지원금”이란 단어들 그리고 장부에 적힌 예탁 액수 및 일자 인출 액수 및 일자를 볼 때 공근리 마을 주민들이 1974년도에 대통령의 특별지원금을 받아 금융기관에 예탁한 후 필요할 때마다 인출하여 사용하였음을 보여주는 장부이다. 장부 상단에 “조합원”이란 단어가 있어 해당 금융기관이 단위 농업협동조합인 것으로 보인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전반기 새마을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대통령 특별지원금이 마을 주민들에 의해 관리·사용된 방법·절차를 확인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원문 기록물 보기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공근리에서 대통령 특별지원금을 받아 금융기관에 예탁하여 관리한 내역의 장부 문서철
[주요내용]
이 자료는 겉표지를 제외하면 금융기관 예탁 장부 1장이 전부이다. 겉표지에 쓰인 “입직기”와 “특별지원금”이란 단어들 그리고 장부에 적힌 예탁 액수 및 일자 인출 액수 및 일자를 볼 때 공근리 마을 주민들이 1974년도에 대통령의 특별지원금을 받아 금융기관에 예탁한 후 필요할 때마다 인출하여 사용하였음을 보여주는 장부이다. 장부 상단에 “조합원”이란 단어가 있어 해당 금융기관이 단위 농업협동조합인 것으로 보인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전반기 새마을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대통령 특별지원금이 마을 주민들에 의해 관리·사용된 방법·절차를 확인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