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1973년 비육우계약서 하용두마을
해제일
20181031
해제작성자
김보현
내용
비육우계약서
해제문
[정의]
경기도 안성군 공도면 용두리 하용두마을의 비육우사업과 관련하여 해당 주민과 마을 공동자금 관리자 간에 맺은 계약의 문서철.
[주요내용]
이 자료는 하용두마을 비육우사업과 관련하여 사업 참여 주민과 마을공동자금 관리자(이장) 사이에 맺은 계약서를 모은 문서철이다. 각 계약서는 이장이 사업 참여 주민에게 일정액을 마을공동자금에서 빌려주어 비육우 1두를 구입하고 사육,관리토록 하여 1년 후에 원금을 수익금의 일부와 함께 상환하게 한다는 내용으로 작성돼 있다. 계약서는 사업 참여 주민을“위탁 관리자”라 칭하고 있다. 계약서에는 위탁관리자 외에 이장, 보증인 등의 날인이 돼 있다. 계약서 작성 시점은 1973년 6월∼9월이다.
[용어정리]
비육우: 질 좋은 고기를 얻기 위해 특별한 방법으로 살이 찌도록 기르는 소.
[의의]
1970년대 전반기 농촌에서 소득사업과 관련하여 참여주민과 마을 공동관리자 간의 계약내용을 나타내는 하나의 사례이다.
원문 기록물 보기
경기도 안성군 공도면 용두리 하용두마을의 비육우사업과 관련하여 해당 주민과 마을 공동자금 관리자 간에 맺은 계약의 문서철.
[주요내용]
이 자료는 하용두마을 비육우사업과 관련하여 사업 참여 주민과 마을공동자금 관리자(이장) 사이에 맺은 계약서를 모은 문서철이다. 각 계약서는 이장이 사업 참여 주민에게 일정액을 마을공동자금에서 빌려주어 비육우 1두를 구입하고 사육,관리토록 하여 1년 후에 원금을 수익금의 일부와 함께 상환하게 한다는 내용으로 작성돼 있다. 계약서는 사업 참여 주민을“위탁 관리자”라 칭하고 있다. 계약서에는 위탁관리자 외에 이장, 보증인 등의 날인이 돼 있다. 계약서 작성 시점은 1973년 6월∼9월이다.
[용어정리]
비육우: 질 좋은 고기를 얻기 위해 특별한 방법으로 살이 찌도록 기르는 소.
[의의]
1970년대 전반기 농촌에서 소득사업과 관련하여 참여주민과 마을 공동관리자 간의 계약내용을 나타내는 하나의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