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차트] 분임연구결과보고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1기 제6분임반 1974.10.15
해제일
20180929
해제작성자
김보현
해제문
[정의]
1974년 10월 15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1기 교육생 제6분임연구반 이순섭 외 16명이 수행한 토의의 내용을 요약한 보고용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이 새마을운동의 지속화 방안을 찾고자 토의한 결과물이다. 여기에서 새마을운동이 환경개선과 생산기반조성의 단계들을 넘어 이제 소득증대사업의 단계에 진입할 때라 분석됐고 따라서 “농업소득”사업(비농소득 관계는 제외)의 추진이 논제로 잡혔다.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은 마을지도자의 집념 부족 소득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 추진능력 부족 등을 당면한 문제점들로 꼽았고 그 각각에 대응하는 방안들과 실천방침들을 제시했다. 결론부에서 그들은 특히 “협동생산”과 “협동출하”를 고무할 것이고 1980년대에 이르러 “호당 140만원 소득”을 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상반기 농촌새마을운동의 지도자들이 생산성과 소득을 올리기 위한 중요한 방편으로 협동의 원리에 입각한 사업방식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의지를 확인해준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4년 10월 15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1기 교육생 제6분임연구반 이순섭 외 16명이 수행한 토의의 내용을 요약한 보고용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이 새마을운동의 지속화 방안을 찾고자 토의한 결과물이다. 여기에서 새마을운동이 환경개선과 생산기반조성의 단계들을 넘어 이제 소득증대사업의 단계에 진입할 때라 분석됐고 따라서 “농업소득”사업(비농소득 관계는 제외)의 추진이 논제로 잡혔다.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은 마을지도자의 집념 부족 소득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 추진능력 부족 등을 당면한 문제점들로 꼽았고 그 각각에 대응하는 방안들과 실천방침들을 제시했다. 결론부에서 그들은 특히 “협동생산”과 “협동출하”를 고무할 것이고 1980년대에 이르러 “호당 140만원 소득”을 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상반기 농촌새마을운동의 지도자들이 생산성과 소득을 올리기 위한 중요한 방편으로 협동의 원리에 입각한 사업방식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의지를 확인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