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차트] 분임연구결과보고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1기 제2분임반 1974.10
해제일
20180929
해제작성자
김보현
해제문
[정의]
1974년 10월 15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1기 교육생 제3분임연구반 이보천 외 17명이 수행한 토의의 내용을 요약한 보고용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이 새마을운동의 지속적 발전 방안을 찾고자 토의한 결과물이다. 여기에서 지난 시기 새마을운동은 소득증대와 직접적 관련성이 약한 환경개선사업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일정 단계 이후로 주민들의 새마을운동 참여도가 점점 낮아졌고 그 만큼 마을지도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진단됐다. 그래서 앞으로는 소득증대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 그런데 이를 위해선 다시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은 “주민들의 자진 참여 방안”과 관련해서 지도자의 능력 부족 주민들의 인식 부족 일부 주민들의 생계 곤란 특수층 및 부유층의 비협조 등 현실의 문제점들을 4가지 항목들로 요약하고 각각에 대응하는 해결방안과 행동방침을 제시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상반기 농촌새마을운동의 지도자들이 주민들의 자발성을 높이고자 고민하고 노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4년 10월 15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에서 새마을지도자반 제21기 교육생 제3분임연구반 이보천 외 17명이 수행한 토의의 내용을 요약한 보고용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이 새마을운동의 지속적 발전 방안을 찾고자 토의한 결과물이다. 여기에서 지난 시기 새마을운동은 소득증대와 직접적 관련성이 약한 환경개선사업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일정 단계 이후로 주민들의 새마을운동 참여도가 점점 낮아졌고 그 만큼 마을지도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진단됐다. 그래서 앞으로는 소득증대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 그런데 이를 위해선 다시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분임연구반 구성원들은 “주민들의 자진 참여 방안”과 관련해서 지도자의 능력 부족 주민들의 인식 부족 일부 주민들의 생계 곤란 특수층 및 부유층의 비협조 등 현실의 문제점들을 4가지 항목들로 요약하고 각각에 대응하는 해결방안과 행동방침을 제시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0년대 상반기 농촌새마을운동의 지도자들이 주민들의 자발성을 높이고자 고민하고 노력한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