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1973년 회의록 하용두마을
해제일
20181112
해제작성자
황병주
해제문
[정의]
1973년 경기도 안성군 공도면 하용두리의 회의록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하용두리의 마을 총회 회의록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회의 내용은 새마을 사업 선정을 위한 논의였다. 앰프 설치 우물 보수 제방 보수 불량 건물 보수 담장 개량 보온 못자리 설치 농로 보수 가로수 심기 지붕 개량 등이었다. 이외에도 안성군에서 추천한 소하천 가꾸기 사업과 농협에서 150만 원을 융자받아 양돈사업을 전개하는 것도 논의되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하용두리 마을 총회를 통해 새마을운동 추진과정을 알 수 있게 한다. 새마을 사업 선정을 위해 총회를 개최하고 다양한 의견을 모아내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결정 사항만 기록한 것이 아니라 회의 진행과정을 자세하게 남겼다. 발언자의 이름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록해서 총회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해준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3년 경기도 안성군 공도면 하용두리의 회의록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하용두리의 마을 총회 회의록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회의 내용은 새마을 사업 선정을 위한 논의였다. 앰프 설치 우물 보수 제방 보수 불량 건물 보수 담장 개량 보온 못자리 설치 농로 보수 가로수 심기 지붕 개량 등이었다. 이외에도 안성군에서 추천한 소하천 가꾸기 사업과 농협에서 150만 원을 융자받아 양돈사업을 전개하는 것도 논의되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하용두리 마을 총회를 통해 새마을운동 추진과정을 알 수 있게 한다. 새마을 사업 선정을 위해 총회를 개최하고 다양한 의견을 모아내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결정 사항만 기록한 것이 아니라 회의 진행과정을 자세하게 남겼다. 발언자의 이름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록해서 총회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