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인원및장비출력대장 (4월-9월) 삼화2리
해제일
20181021
해제작성자
황병주
해제문
[정의]
1977년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삼화2리의 새마을사업 출역부
[주요내용]
이 자료는 삼화2리 주민들의 새마을사업 참여 현황을 다룬다. 4월부터 10월까지 10일 단위로 구분된 도표에 매일의 참여 현황을 기록했다. 맨 마지막 합계란은 사업 참여 통계를 기입했다. 농기구를 동원한 주민의 경우에는 종류별로 차등하여 기록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삼화2리 새마을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 현황을 보여준다. 공동노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민들 사이의 공정한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이와 같은 도표가 필요했다. 공동노동이 매우 강조된 것이 새마을운동이었지만 주민 개개인의 사정에 따라 불참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었고 이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7년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 삼화2리의 새마을사업 출역부
[주요내용]
이 자료는 삼화2리 주민들의 새마을사업 참여 현황을 다룬다. 4월부터 10월까지 10일 단위로 구분된 도표에 매일의 참여 현황을 기록했다. 맨 마지막 합계란은 사업 참여 통계를 기입했다. 농기구를 동원한 주민의 경우에는 종류별로 차등하여 기록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삼화2리 새마을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 현황을 보여준다. 공동노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주민들 사이의 공정한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이와 같은 도표가 필요했다. 공동노동이 매우 강조된 것이 새마을운동이었지만 주민 개개인의 사정에 따라 불참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었고 이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