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협업및공동작업반편성명부 삼화2리
해제일
20181020
해제작성자
황병주
해제문
[정의]
1970년대 충청남도 당진군 삼화2리 공동작업반 명부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0년대 삼화2리의 공동작업반 편성을 다룬다. 반과 마을 그리고 반장과 반원으로 구성된 도표에 내용일 기록했다. 1반은 14명으로 구성되었고 2반은 16명 3반은 13명 4반은 16명 5반은 19명 6반은 13명 등 6개반에 걸쳐 총 91명이 공동작업반으로 편제되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공동작업반 편성 상황을 보여준다. 새마을운동은 초창기부터 공동작업과 협동을 매우 중시했다. 개별 농가나 개인의 활동 보다는 마을을 중심으로 한 집단적 운동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에 공동작업이 강조된 것이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0년대 충청남도 당진군 삼화2리 공동작업반 명부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0년대 삼화2리의 공동작업반 편성을 다룬다. 반과 마을 그리고 반장과 반원으로 구성된 도표에 내용일 기록했다. 1반은 14명으로 구성되었고 2반은 16명 3반은 13명 4반은 16명 5반은 19명 6반은 13명 등 6개반에 걸쳐 총 91명이 공동작업반으로 편제되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공동작업반 편성 상황을 보여준다. 새마을운동은 초창기부터 공동작업과 협동을 매우 중시했다. 개별 농가나 개인의 활동 보다는 마을을 중심으로 한 집단적 운동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에 공동작업이 강조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