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1973년 새마을운동추진현황 (6월30일현재) 충청남도
해제일
20181019
해제작성자
황병주
해제문
[정의]
1973년 충청남도의 새마을운동 추진현황 책자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6월까지 충청남도의 새마을운동 추진현황을 보여준다. 정신개혁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농어민상의 정립 3백만의 총화된 힘으로 새 충남의 건설 집중적 시범개발로서 농어촌의 근대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1973년 새마을운동의 기본방향을 모든 국토의 작업장화 모든 일손의 생산화 모든 농민의 기술화로 제시했다. 기초마을 자조마을 자립마을로 구분된 단계적 마을 육성과 기본사업 지원사업 소득사업으로 구분된 단계적 추진을 계획했다. 1973년 계획도 주민부담이 72.8%에 달할 정도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3년도 충청남도의 새마을운동 실적과 계획을 보여준다. 충청남도의 모든 새마을사업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새마을운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특히 추진계획에 정부 지원도 있지만 주민부담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3년 충청남도의 새마을운동 추진현황 책자
[주요내용]
이 자료는 1973년 6월까지 충청남도의 새마을운동 추진현황을 보여준다. 정신개혁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농어민상의 정립 3백만의 총화된 힘으로 새 충남의 건설 집중적 시범개발로서 농어촌의 근대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1973년 새마을운동의 기본방향을 모든 국토의 작업장화 모든 일손의 생산화 모든 농민의 기술화로 제시했다. 기초마을 자조마을 자립마을로 구분된 단계적 마을 육성과 기본사업 지원사업 소득사업으로 구분된 단계적 추진을 계획했다. 1973년 계획도 주민부담이 72.8%에 달할 정도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다.
[용어정리]
[의의]
이 자료는 1973년도 충청남도의 새마을운동 실적과 계획을 보여준다. 충청남도의 모든 새마을사업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새마을운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특히 추진계획에 정부 지원도 있지만 주민부담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