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차트] 분임연구결과보고서 분임토의결과보고서 제6분임반 1973.7.25
해제일
20181126
해제작성자
이상록
해제문
[정의]
1973년 7월 25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제6기 제6분임연구반의 분임토의 연구결과 보고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농협운동의 검토 분석을 주제로 토의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분임은 농협운동의 문제점으로 ‘조합원의 참여의식 결여 임직원 자질 및 활동 부족 하부 생산조직의 취약 자체자금 조성 부진 계통 구매·판매사업 부진 상호금융 부진 연쇄점 운영 부진’을 지적하였다. 문제해결 방안으로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 가능한 방법을 동원하여 출자를 할 것 조합원의 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킬 것 생산조직을 통해 기술지도 및 판매 사업을 확충할 것 임직원이 솔선하여 고액 출자를 할 것 임직원 부락별 책임제를 실시하여 수시 야간 지도 계몽을 실시할 것 상호금융을 확대하여 대출자금을 확보할 것 농한기를 이용하여 조합원의 상호간 친목을 도모하게 할 것 지역적으로 조성된 파벌 및 씨족 대립 경향을 해소하도록 노력할 것’등이 제안되었다.
[용어정리]
연쇄점: 공동으로 구매하여 공동설비를 이용한 소매점의 집단 상호금융(相互金融) : 농협 수협 등의 단위조합을 통해 제한된 형태의 예금과 대출을 취급하는 것. 부락(部落) : 시골에서 여러 민가(民家)가 모여 이룬 마을
[의의]
이 차트는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교육생들이 농협운동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대하여 토의 연구한 자료이다. 임직원 부락별 책임제로 수시 야간 지도를 실시할 것과 지역내 파벌 및 씨족 대립을 해소할 것 등의 문제해결 방안이 주목된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3년 7월 25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제6기 제6분임연구반의 분임토의 연구결과 보고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농협운동의 검토 분석을 주제로 토의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분임은 농협운동의 문제점으로 ‘조합원의 참여의식 결여 임직원 자질 및 활동 부족 하부 생산조직의 취약 자체자금 조성 부진 계통 구매·판매사업 부진 상호금융 부진 연쇄점 운영 부진’을 지적하였다. 문제해결 방안으로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 가능한 방법을 동원하여 출자를 할 것 조합원의 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킬 것 생산조직을 통해 기술지도 및 판매 사업을 확충할 것 임직원이 솔선하여 고액 출자를 할 것 임직원 부락별 책임제를 실시하여 수시 야간 지도 계몽을 실시할 것 상호금융을 확대하여 대출자금을 확보할 것 농한기를 이용하여 조합원의 상호간 친목을 도모하게 할 것 지역적으로 조성된 파벌 및 씨족 대립 경향을 해소하도록 노력할 것’등이 제안되었다.
[용어정리]
연쇄점: 공동으로 구매하여 공동설비를 이용한 소매점의 집단 상호금융(相互金融) : 농협 수협 등의 단위조합을 통해 제한된 형태의 예금과 대출을 취급하는 것. 부락(部落) : 시골에서 여러 민가(民家)가 모여 이룬 마을
[의의]
이 차트는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교육생들이 농협운동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대하여 토의 연구한 자료이다. 임직원 부락별 책임제로 수시 야간 지도를 실시할 것과 지역내 파벌 및 씨족 대립을 해소할 것 등의 문제해결 방안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