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물 해제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주요 내용 및 해당 기록물이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갖는 의의를 간략하게 설명한 해제문을 제공합니다.
7
T
[차트] 분임연구 단위조합장 제2기(2차) 제1분임반
해제일
20181126
해제작성자
이상록
해제문
[정의]
1973년 3월 16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제2기 2차 제1분임연구반의 분임토의 연구결과 보고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농협 단위조합 조직 강화 방안에 대해 토의 연구한 결과물이다. 문제점으로는 ‘농협 단위조합 각종 조직이 유명무실한 점’이 채택되었고 문제점 요인으로는 ‘지도자의 활력 부족 조합원의 이해 부족 각종 사업 실패로 인한 와해 말단 조직의 기능발휘 미흡 유관기관의 비협조’가 지적되었다. 해결방안으로는 ‘원만하고 책임감이 강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활동력이 강한 지도자를 선출할 것 봉사정신을 발휘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할 것 부락 단위로 조합원을 계몽할 것 시장조사 및 물가동향을 파악할 것 지역 실정에 적합한 사업을 선택할 것 사업계획을 사전에 수립할 것 합리적인 경영으로 각종 사업에 충실을 기할 것 협동회 및 작목반을 육성 강화하여 기능을 발휘시킬 것 부녀회·청년회 등 각급 조직을 단위조합 협동조직으로 육성 강화할 것 각급 기관의 협의회를 통하여 유대를 강화할 것’이 제안되었다.
[용어정리]
협동회(協同會) : 단체적인 공동 목적을 위해 여럿이 모이는 모임
작목반: 농촌에서 작목별 지역별로 조직을 5인 이상으로 구성하여 공동생산 및 공동 출하를 하여 농촌의 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농협이 주관하여 만든 조직
[의의]
이 차트는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교육생들이 농협 단위조합 조직 강화 방안에 대하여 토의 연구한 자료이다. 혐동회 및 작목반 육성과 부녀회 청년회 등 지역 하부 조직을 농협 단위조합 협동조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한 점이 주목된다.
원문 기록물 보기
1973년 3월 16일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제2기 2차 제1분임연구반의 분임토의 연구결과 보고 차트
[주요내용]
이 차트는 농협 단위조합 조직 강화 방안에 대해 토의 연구한 결과물이다. 문제점으로는 ‘농협 단위조합 각종 조직이 유명무실한 점’이 채택되었고 문제점 요인으로는 ‘지도자의 활력 부족 조합원의 이해 부족 각종 사업 실패로 인한 와해 말단 조직의 기능발휘 미흡 유관기관의 비협조’가 지적되었다. 해결방안으로는 ‘원만하고 책임감이 강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활동력이 강한 지도자를 선출할 것 봉사정신을 발휘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할 것 부락 단위로 조합원을 계몽할 것 시장조사 및 물가동향을 파악할 것 지역 실정에 적합한 사업을 선택할 것 사업계획을 사전에 수립할 것 합리적인 경영으로 각종 사업에 충실을 기할 것 협동회 및 작목반을 육성 강화하여 기능을 발휘시킬 것 부녀회·청년회 등 각급 조직을 단위조합 협동조직으로 육성 강화할 것 각급 기관의 협의회를 통하여 유대를 강화할 것’이 제안되었다.
[용어정리]
협동회(協同會) : 단체적인 공동 목적을 위해 여럿이 모이는 모임
작목반: 농촌에서 작목별 지역별로 조직을 5인 이상으로 구성하여 공동생산 및 공동 출하를 하여 농촌의 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농협이 주관하여 만든 조직
[의의]
이 차트는 새마을지도자연수원 농협조합장과정 교육생들이 농협 단위조합 조직 강화 방안에 대하여 토의 연구한 자료이다. 혐동회 및 작목반 육성과 부녀회 청년회 등 지역 하부 조직을 농협 단위조합 협동조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한 점이 주목된다.